서버를 만들어주는 프로그램 설치해보자!
https://tomcat.apache.org/download-80.cgi
셧다운 포트 8005번 설정
셧다운 포트로 외부에서 내 서버를 끌 수 있다.
8080 포트를 쓰면 오라클과 충돌이 난다.
-> 오라클 서비스 중지시킬 거임!!
8080 포트 그대로 두자.
윈도우 서비스 네임 : xe와 같은 이름
바꿔도 됨!
User Name : green
Password : green1234
환경변수를 잡아놔서 자동으로 JRE를 찾아간다.
이렇게 Finish를 해도 실행되지 않는다.
8080 포트 충돌 됐거든!!
오라클 때문에 실행 안되니까
Ctrl + Shift + Esc
-> 서비스
OracleServiceXe, OracleXETNSListener
둘 다 처리!!
꼬여있으니까 톰캣 가서 스탑 했다가 스타트하기
start가 됐다는 것은 아까 그 웹서버 폴더가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이제 여기로 접속해보자
localhost:8080
저장되어있는 폴더는 디폴트 경로이다.
C:\Program Files\Apache Software Foundation\Tomcat 9.0\webapps\ROOT
localhost:8080로 접속했을 때 나온 홈페이지는
index.jsp 파일이 자동으로 켜진 것이다.
index.jsp 파일을 삭제한 후 다시 들어가 보자.
정확한 파일명이 없어서 오류 뜨는 것이다.
이것도 프로토콜!!
정확한 파일명을 요청해서
엔터 치면 파일을 응답받는 것
결국 localhost:8080이 웹서버 폴더의 주소인 것이다.
웹서버 폴더의 주소를 내가 원하는 폴더로 지정할 수도 있다.
http://localhost:8080/hello.txt
외부에서는 localhost가 아닌 IP주소를 치고 포트를 치면
C:\Program Files\Apache Software Foundation\Tomcat 9.0\webapps\ROOT\hello.txt와 같은 것이다.
웹서버는 http 프로토콜과 IP 주소와 port번호로 접근할 수 있는 폴더!!
[출처]
https://cafe.naver.com/metacoding
메타 코딩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EB%A9%94%ED%83%80%EC%BD%94%EB%94%A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