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데이터 5

공공 데이터 4강. 파싱(2)

파싱을 쉽게 도와주는 사이트도 있지만, 처음에는 직접 전송받아올 오브젝트를 만들어보자. 생성자와 getter, setter도 필요하지만 우선 필드 선언부터 해줄것이다. gson이 인식할 때 무조건 타입이 일치해야 하는데 스트링은 어떤 타입도 다 받을 수 있다. 무적임! 어차피 문자열로 날아오니까!! 개발계정의 상세보기에 들어가서 스크롤을 내리면 요청 변수라는 것이 있다. 요청 변수에 쿼리 스트링의 키 값들과 정보들이 나와있다. 여기 항목에 옵션과 필수 항목이 나누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serviceKey는 디폴트 값이라 안 나와있어도 꼭 적어줘야 함! * 모든 항공사의 정보를 다 받고 싶으면 airlineId 옵션을 지워주면 된다. 빼도 되는지 안되는지 감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문서를 정독해보..

공공 데이터 2022.01.25

공공 데이터 3강. 리플렉션

리플렉션(Reflection) : 객체를 통해 클래스의 정보를 분석해 내는 프로그램 기법 (투시, 반사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음) 쉽게 말해 리플렉션은 내부를 훔쳐보는 기법이라는 말이다. 과일가게에 1차 판매자는 사과와 딸기를 파는데 과일들을 더 맛있게 해주는 향신료를 가지고 있다. 1차 판매자에게 물건을 받아 되파는 2차 판매자가 바나나가 팔고 싶어 져서 1차 판매자에게 요청을 하면 추가로 넣어줄 수도 있다. 하지만 바나나 물건 구하고, 사 와서 향신료와 함께 파는 건 괜찮지만 2차 판매자가 많아질수록 요구사항도 많아지고 1차 판매자는 너무 귀찮아지게 될 것이다. 1차 판매자는 2차 판매자가 어떤 과일을 추가로 요구할지 모르기 때문에 1차 판매자는 결국 향신료의 레시피는 공개하지 않은 채 필요한 ..

공공 데이터 2022.01.25

공공 데이터 2강. 파싱(1)

공항 목록과 항공사 목록을 조회하여 원하는 정보를 입력한 다음 미리보기를 눌러주면 요청한 정보들이 xml 형태로 나온다. 페이지의 주소를 분석해보자. http://openapi.tago.go.kr/openapi/service/DmstcFlightNvgInfoService/getFlightOpratInfoList? 까지가 주소이다. http에서 get요청을 할 때 쿼리 스트링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요청을 했었다. 쿼리 스트링의 형식은 주소?키=값&키=값 모양이였다. 물음표를 기준으로, 물음표 직전에 파일명이 있으면 URL, 없으면 URI이다. 이 주소는 URI이다!! serviceKey=~~%3D%3D // 인증키 serviceKey= 부터 %3D%3D까지가 발급받은 인증키이다. 여기에 자신의 인증키를 넣어..

공공 데이터 2022.01.25

공공 데이터 1강. 데이터 찾기

파일데이터 : 전국에 위치해있는 CCTV, 지하철 노선 데이터 등 오픈 API : 인터페이스만 지키면 데이터 무료로 나눠 줄게! 지금이랑 한시간뒤에 날씨가 다르듯 실시간으로 바뀌는 데이터를 파일로 만들 수 없는 것. 전국 버스위치 등 [출처] https://cafe.naver.com/metacoding 메타코딩 : 네이버 카페 코린이들의 궁금증 cafe.naver.com 메타 코딩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EB%A9%94%ED%83%80%EC%BD%94%EB%94%A9 메타코딩 문의사항 : getinthere@naver.com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meta4pm 깃헙 : https://github.com/codingspecialist ..

공공 데이터 2022.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