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ffer 3

자바 36강. 예외 처리

try-catch 오류가 발생하면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더 이상 큐가 진행이 안 되는 것이다. 예외처리를 하는 이유는 큐가 종료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때, 통신을 할 때는 꼭 트라이캐치를 사용해야 한다. 사용자가 요구하는 값을 타입에 맞춰 정확히 입력할 지 믿을 수 없기 때문이다. 예외처리는 런타임때 일어나기 때문에 어떤 예외를 처리해야하는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예외처리의 부모 클래스인 Exception을 걸어준다. 정수를 입력해야 하는데 한글을 넣었더니 InputMismatchException이 발생했다. 예외를 처리하는 것은 뒤에 문제고 예외가 일어나지 않게 미리 막아놔야 한다. 이걸 유효성 검사(Validation Check)라고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유..

JAVA 2022.01.28

공공 데이터 4강. 파싱(2)

파싱을 쉽게 도와주는 사이트도 있지만, 처음에는 직접 전송받아올 오브젝트를 만들어보자. 생성자와 getter, setter도 필요하지만 우선 필드 선언부터 해줄것이다. gson이 인식할 때 무조건 타입이 일치해야 하는데 스트링은 어떤 타입도 다 받을 수 있다. 무적임! 어차피 문자열로 날아오니까!! 개발계정의 상세보기에 들어가서 스크롤을 내리면 요청 변수라는 것이 있다. 요청 변수에 쿼리 스트링의 키 값들과 정보들이 나와있다. 여기 항목에 옵션과 필수 항목이 나누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serviceKey는 디폴트 값이라 안 나와있어도 꼭 적어줘야 함! * 모든 항공사의 정보를 다 받고 싶으면 airlineId 옵션을 지워주면 된다. 빼도 되는지 안되는지 감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문서를 정독해보..

공공 데이터 2022.01.25

자바 34강. Buffer

버퍼는 가득차면 전송한다. 가득 찰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100만큼의 데이터가 버퍼로 들어오면, 사이즈가 100인 버퍼의 처리 속도가 빠르다. 100이 들어오면 버퍼가 가득차서 바로 처리하기 때문이다. 100크기의 버퍼에 500이 들어오면 100이 가득차고, 400은 대기중인것을 버퍼링이라고 한다. 버퍼링 : 내가 가진 버퍼 범위를 가득차서 넘어가는 것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크기의 버퍼를 만들어야 한다. baud rate : 초당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말 잘게 쪼갤수록 짧은시간에 더 많은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컴퓨터의 연산속도가 빠르면 통신할 때 더 많은 데이터를 보낼 수 있게된다. Byte Stream을 통해 10110이 들어오면 무슨말이 하고싶은지 소통을 할 수 ..

JAVA 2022.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