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ck 3

자바 7강. 변수

자료형(type)은 데이터를 담을 박스를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한다. 즉, 변수를 담을 상자의 크기를 지정하는 것이다. 자료형이 있는 언어를 정적인 언어라고 하고, 자료형이 없고 한 줄씩 해석(인터프리터)하는 언어를 동적인 언어라고 한다. 자바에는 8가지 기본 자료형이 있다. 이중에 우리는 4가지만 알고 가자. 데이터형 설명 크기(비트) 최소값 최대값 int 부호있는 정수 32비트(4바이트) 약 -21억 4천 약 21억 4천 long 부호있는 정수 64비트(8바이트) 약 -900경 약 900경 double 실수 64비트(8바이트) int와 숫자범위는 동일 + 소수점 int와 숫자범위는 동일 + 소수점 boolean true 또는 false 1비트 해당 없음 해당 없음 정수를 표현할 때는 int(42..

JAVA 2022.01.07

자바 6강. JVM 아키텍쳐

모든 데이터에는 자료형이 있다. 자료형(data type)은 변수에 저장되는 자료의 타입을 의미한다. 변수는 데이터를 담아두는 상자와 같다고 생각할 수 있다. 상자들은 식별을 위해 이름표를 붙여준다. 이 이름표로 저장된 메모리의 영역을 찾을 수 있다. 이때 상자의 종류를 크기별로 나타내는 것을 자료형이라고 한다. 우선 프로그래밍을 한번 해보자 VarEx.java 파일을 만들 것이다. Var은 variable 변수의 약자이다. 지금 우리는 메인 영역만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메인 안에 적을 것이다. 상자를 만들건데 상자의 이름을 num이라고 정해줄 것이다. 상자의 크기는 이름 앞에 적어준다. byte는 8비트이고, 숫자는 0~255까지 들어갈 수 있다. package ex05; public class V..

JAVA 2022.01.07

자바 3강. 컴파일과 인터프리터

컴파일 : 전체 코드를 한 번에 번역 (ex. C언어) 실행 속도가 빠름 인터프리터 : 한 줄씩 읽어서 번역 (ex. 파이썬, 자바 스크립트) 컴파일에 비해 속도가 느림 쌀을 보관할 쌀창고의 크기를 설계한다고 생각해보자. 쌀의 크기와 양을 알고 있다면 창고의 크기를 미리 설계할 수 있고, 창고의 낭비가 없을 것이다. 들어올 쌀의 양과 크기가 정해져 있는 것을 정적이라고 한다. 컴파일이 정적인 언어이다. 컴파일은 메모리 공간 설계가 완벽해서 공간에 낭비가 없다. 들어올 쌀의 양과 크기를 모른다면 쌀이 들어올 때마다 창고를 설계해야 한다. 이것을 동적이라고 한다. 인터프리터가 동적인 언어이다. 이때 창고의 크기보다 더 큰 쌀이 들어왔다면 더 큰 공간의 공터에 쌀을 보관하고 창고에는 공터의 주소를 참조하게 된..

JAVA 202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