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 5

자바 22강. 인터페이스

모니터 암을 만드는 회사는 모니터 베사홀의 크기 규격을 맞춰 만들어야 한다. 이게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는 프로토콜과 비교된다. 프로토콜이 합의하에 만들어지는 수평적인 약속이라면, 인터페이스에는 갑과 을의 관계가 나누어져 갑이 정한 규칙을 을에게 강제로 알려주는 수직적인 약속이다. 모니터를 만드는 업체가 모니터 암을 만드는 업체에게 강제성을 부여한 것이다. 그렇다면 인터페이스를 행위에 대한 강제성 때문에 사용할까? 그건 추상 클래스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추상화를 사용한 프로그램을 살펴보자. 자동차 설계도를 보면 모든 자동차는 바퀴 4개, 엑셀 1개, 브레이크 1개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모든 자동차는 전진, 후진, 멈춤의 행위만 한다. 바퀴 4개, 엑셀 1개, 브레이크 1개는 공통적인 것이기 때문에 ..

JAVA 2022.01.18

#10강. 난 수동적인 웹서버야

내가 html, 파일, 메일 등과 같은 자원(resource)의 '갑'인지 생각해보자. 길동의 집 마당에 석유가 나왔다고 해보자. 석유는 마을 사람들에게 나눌 필요가 없는 온전히 홍길동의 것이다. 길동은 석유를 마을 사람들에게 나눌 의무는 없지만 아량을 베풀어 나누어 줄 수는 있다. 이 상황에서 길동은 갑이된다. 길동이 석유를 나누기 위해 마을에 위 사진과 같은 표지판을 만들었다. 첫째, 오전 9시부터 오후 18시까지만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 하루에 1L만 가지고 갈 수 있다. 셋째, 꺽정이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마을 사람들과 협의하지 않고, 동의를 구할 필요 없이 일방적으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을 인터페이스라고 한다. 인터페이스 : 서로 다른 두 개의 시스템,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는 경..

#9강. HTML은 논문을 위해서 탄생하였다

팀 버너스리 : 팀 버너스리 경은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이다. 1989년 월드 와이드 웹의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을 고안하여 개발했다. 인터넷의 기반을 닦은 여러 공로로 웹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인물 중 하나이다. 1980년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의 계약자였었던 물리학자 팀 버너스리가 HTML의 원형인 인콰이어를 제안하였다. 인콰이어는 CERN의 연구원들이 문서를 이용하고 공유하기 위한 체계였다. 문서를 공유할 때 가장 좋은 툴이 브라우저이다. 웹 브라우저(Web browser) : HTML 문서와 그림, 멀티미디어 파일 등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의 컨텐츠를 검색 및 열람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의 총칭 브라우저는 문서를 해석, 분석하는 툴을 말한다. 개개인의 연구원들은 중앙 컴퓨터를 기..

#5강. 청군 vs 홍군 전쟁에 승리하는 군대는 어디일까 / #6강. TCP통신이 무엇이죠

전쟁의 상황에 통신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왼쪽 홍군이 오른쪽 홍군에게 말을 타고 "10시에 돌격 앞으로 !" 라는 메시지를 전달을 했다. 이때, 오른쪽 홍군에게서 알겠다는 답장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왼쪽 홍군은 10시에 움직일 수 없을 것이다. 오른쪽 홍군에게서 알겠다는 답장을 왼쪽 홍군이 받았더라도, 왼쪽 홍군이 답장을 받았는지 모르는 왼쪽 홍군은 10시에 움직일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다시 왼쪽 홍군이 오른쪽 홍군에게 답장을 잘 받았다는 답장을 보내는 것 까지 총 3번의 통신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이 것을 우리는 3 way handshake, TCP 통신(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이라고 부른다. TCP 통신은 신뢰성 있는 통신이다. 3 way handshake : TCP ..

#1강. 전자와 2진수의 관계

* 메모리 반도체와 비메모리 반도체의 차이점 - 메모리 반도체 : 메모리 반도체는 반도체 기반의 집적 회로 위에 추가된 컴퓨터 메모리이다. 메모리 반도체의 예로 트랜지스터 기반의 에스램, 비트를 저장하기 위한 축전기 기반의 디램이 있다. (RAM) - 비메모리 반도체 : 컴퓨터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이 데이터를 해석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S램, D램, 롬 등의 메모리 반도체 외에 모든 반도체가 비메모리 반도체에 속한다.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파워 반도체, 멀티미디어 반도체 등) 예를 들어, 아래 사진과 같이 로봇이 앞으로 걸어가다가 장애물을 만났을 때 50cm 앞에서 레이더로 장애물을 인식하고, 방향 전환을 해야 한다. 이때, 메모리 반도체는 50cm 앞에 장애물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