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결성 3

DB 4강. 자바와 데이터베이스

새로고침 버튼을 눌러주면 테이블이 많이 생겨난 것을 볼 수 있다. 일단 문법은 생각하지 말고 따라 쳐보자. SELECT * FROM EMP; Ctrl + Enter 행 실행 (F5 전체 실행) 실행해보면 저장된 데이터들이 예쁘게 뜬다. 저장된 테이블에서 DEPTNO는 부서 번호를 뜻한다. 근데 부서 번호만 보고서는 뭐하는 곳인지, 어디 있는 부서인지 알 수가 없다. SELECT * FROM DEPT; 한 문장을 더 치고 Ctrl + Enter키를 눌러준다. 부서와 관련된 테이블이 다시 뜰 것이다. 여기에 부서의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그렇다면 왜 부서의 세부 데이터들을 같이 저장해놓지 않고 따로 저장해두었을까? 데이터베이스는 오브젝트를 저장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브젝트의 키값을 저장한 것이다...

DB/Oracle 2022.01.28

#7강. 신뢰성을 위한 가장 완벽한 암호화(RSA) (1/2)

대칭 키 암호(symmetric-key algorithm) :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암호 키를 쓰는 알고리즘 앨리스가 밥에게 10시라는 메시지를 A키로 암호화하여 보내도 A키가 없는 밥은 열지 못한다. 이 때 트루디가 중간에서 가로채지 못하고 A키를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디피헬만 알고리즘(Diffie-Hellman Algorithm) : 두 사용자가 사전에 어떤 비밀 교환 없이도 공통 키를 교환하게 해주는 알고리즘 디피헬만 알고리즘의 핵심은 상대방의 공개키와 나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계산을 하면 비밀키가 나온다는 것이다. 그 후 나와 상대방은 비밀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전달하면 된다. 앨리스의 개인키는 3, 밥의 개인키는 4이다. 서로의 공개키가 5라고 했을 때, 앨리스와 밥은 서로의..

#5강. 청군 vs 홍군 전쟁에 승리하는 군대는 어디일까 / #6강. TCP통신이 무엇이죠

전쟁의 상황에 통신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왼쪽 홍군이 오른쪽 홍군에게 말을 타고 "10시에 돌격 앞으로 !" 라는 메시지를 전달을 했다. 이때, 오른쪽 홍군에게서 알겠다는 답장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왼쪽 홍군은 10시에 움직일 수 없을 것이다. 오른쪽 홍군에게서 알겠다는 답장을 왼쪽 홍군이 받았더라도, 왼쪽 홍군이 답장을 받았는지 모르는 왼쪽 홍군은 10시에 움직일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다시 왼쪽 홍군이 오른쪽 홍군에게 답장을 잘 받았다는 답장을 보내는 것 까지 총 3번의 통신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이 것을 우리는 3 way handshake, TCP 통신(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이라고 부른다. TCP 통신은 신뢰성 있는 통신이다. 3 way handshake : TC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