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1 -> User 1
하나의 글은 한 명의 유저가 쓴다.
Post N <- User 1
한 명의 유저는 여러 개의 글을 쓴다.
Post (N) : User (1) 의 연관 관계를 갖는다.
FK의 주인은 Post 테이블(N)이고,
드라이빙 테이블도 Post 테이블(N)이다.
만약 다음과 같은 페이지 두 개만 존재하는 사이트에
list 페이지에는 Post 테이블의 title만 필요하고,
detail 페이지에는 Post 테이블의 title, content만 필요하다고 할 때
User 테이블에는 접근을 하지 않으므로
LAZY 전략이 훨씬 좋을 것이다.
근데 왜 @ManyToOne의 기본 fetch 전략이 EAGER일까?
Post를 SELECT 했을 때 User 데이터는 한 건 뿐이기 때문이다.
크게 부하가 없기 때문에 기본전략이 EAGER이다.
만약 SELECT 결과가 100개로 컬렉션을 돌려준다면
기본전략이 LAZY일 것이다.
한가지 예를 들어보자.
아들이 소풍을 가는 날이다.
"엄마, 내가 친구들이랑 김밥을 먹을 수도 있고, 안 먹을 수도 있는데
100줄만 미리 싸주세요!!"
과연 아들에게 100줄을 다 싸줄까?
먹을지 안 먹을지도 모르는데?
그렇다면 아들이
"엄마, 내가 친구들이랑 김밥을 먹을 수도 있고, 안 먹을 수도 있는데
1줄만 미리 싸주세요!!"
싸줄 것이다.
이때 100줄을 미리 다 싸주는 상황에서는 아들에게 돈을 쥐어주고
"혹시 먹게 되면 이 돈으로 100줄 사 먹어"라고 할 것이다.
LAZY 하게.
김밥 1줄을 미리 싸주는 것은 엄마에게 크게 부하가 없기 때문에
미리 싸줄 수 있다.
이게 @ManyToOne의 EAGER 전략이다.
김밥 100줄이 필요할지 안 할지 모르는데 만약 필요하면
돈 주고 100줄을 사 먹는 게
@OneToMany LAZY 전략이다.
@ManyToOne 기본 전략 : EAGER
@OneToMany 기본 전략 : LAZY
@ManyToOne이어도 앞서 설명한 사진처럼
User 데이터를 끌어올 필요 없는 상황이라면
전략을 LAZY로 바꿔도 상관없다!
[출처]
https://cafe.naver.com/metacoding
메타 코딩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EB%A9%94%ED%83%80%EC%BD%94%EB%94%A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