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39

자바 13강. 메서드

클래스의 행위에 대해 알아보자. 행위 = 메서드 행위는 " 메서드 이름 + ( ) + { } " 구조로 만들어진다. void drink ( ) { } 이 구조를 가진 것들은 메서드이다. main도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니 메서드이다. 행위 안에 행위를 추가할 수 없다. 메서드 = 블랙박스(캡슐화) 혹은 매직박스라고도 함 호출만 해! 캡슐화 : 호출하면 뭐가 나올지만 알면되고 구조와 원리는 이해할 필요 없음 (ex. 엑셀 밟으면 자동차가 앞으로 나감 메서드를 호출하면 차가 앞으로 나가는 행위 엑셀 : 메서드를 호출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 세상의 모든 것들은 호출해서 아웃풋이 나온다. 그리고 대부분 모든 사람들은 호출해서 왜 어떻게 아웃풋이 나오는지 모른다. 캡슐화된 메서드를 호출만 하기 때문이다. 개발자..

JAVA 2022.01.12

자바 12강. 클래스

class를 만들 때 규칙이 있다. 1. 클래스는 상태와 행위를 가진다. 상태 : 변수 (ex. 목이 마른 정도 = 30) 행위 : 메서드 (ex. 물 마시기) 2. 상태는 직접 변경할 수 없다. 행위를 통해서만 변경이 가능하다. (ex. 목이 마른 정도 = 50 으로 직접 변경 불가능) 3. 자바는 모든 코드가 클래스 내부에 들어와야한다.(언어마다 특징이 다름) 자바에서 class가 1급객체이기 때문이다. 클래스 생성은 자체가 클래스이기 때문에 밖에 쓸 수 있다. 상태만 있고 행위는 없는 클래스가 있긴 하다 이것은 상태가 고정되어 있는 클래스이다. 상태가 있고 행위는 없을 수도 있고 상태는 없고 행위만 있을 수도 있고 둘 다 없을 수도 있다. 클래스의 구조는 이렇다. class Car { 상태 행위( ..

JAVA 2022.01.12

자바 11강.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 : 실제 세계가 객체(object)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비슷하게 소프트웨어도 객체 단위로 작성하는 방법 실제 세계에 객체들은 사람, 동물, 건물, 자동차, 시계, 토스터, 세탁기 등의 많은 객체가 존재한다. 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다양한 특징을 가진다. 영어를 예로 들어 보면 추상적인 단어와 물질적인 단어가 나누어져 있다. 추상적인 단어 : 존재하지 않는 것 물질적인 단어 : 존재하는 것(s) -> 셀 수 있는 명사 실제로 침대, 의자, 책상은 우리가 본 적이 있지만 '가구'를 본 적이 있을까? 이렇게 물리적인 침대, 의자, 책상을 하나로 두루뭉실하게 부르기 위해 물질적인 것들을 추상화 한 가구를 부모라고 한다. 또..

JAVA 2022.01.11

구구단 출력하기(for문)

2단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가장 기초적으로 이렇게 작성을 할 수 있다. package ex06; public class GugudanEx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2단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주세요. System.out.println("2 * 1 = 2"); System.out.println("2 * 2 = 4"); System.out.println("2 * 3 = 6"); System.out.println("2 * 4 = 8"); System.out.println("2 * 5 = 10"); System.out.println("2 * 6 = 12"); System.out.println("2 * 7 = 14"); ..

JAVA 2022.01.11

자바 10강. 반복문

while문 : 끝을 알 수 없을 때, 끝없는 반복 데몬(데미안) - 컴퓨터관점이 아닌 일반적인 관점 : 내가 계속 켜져있을테니까 네가 필요하면 가져가(선풍기, 형광등 등) for문 : 끝이 정해져 있을 때, 시간이 정해진 반복(전자레인지) while문 형식 while(조건문) { 조건이 true이면 돌아가는 내용 } package ex06;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WhileEx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while (true) { int num = sc.nextInt(); System.out.println("사용자 입력 : " + num)..

JAVA 2022.01.10

자바 9강. 조건문

절차지향 프로그래밍 : 위에서 부터 한줄씩 순서대로 실행 순서도를 짜면서 정의하는게 프로그램 if, double 같은것들을 키워드라고 하는데 키워드를 예약어라고도 하며, 자바에서 키워드를 만들 때 정한 사용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쓸 수 없다. 즉, 키워드를 사용자가 정의하는 변수나 클래스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int if = 10; int double = 10; 변수의 이름에 키워드를 넣으니 에러가 난다. syntax(문법) 에러 유효하지않은 변수 선언(invalid variable Declaratorid) if 문법 if(조건문) { 조건문이 true일 때 실행될 내용 } 자바에서 괄호 뒤에 중괄호가 나오는 형식 : 행위의 영역 표시 package ex06; public class ConEx01..

JAVA 2022.01.10

자바 8강. 연산자

[복습] 1. 자바 파스칼 표기법 파일 생성 = class 명 일치 2. 자바 변수 = 커멜(낙타) 표기법 3. 자바 JVM 시작 = (static, stack, heap) 자바 생명주기 main시작 ~ main끝 static에는 중간에 띄울 수 없고 시작 전에만 띄우는 게 가능 static 자바 프로그램 시작 전부터 떠있다가 끝까지 떠있는 것 stack 행위에 대한 데이터 보관 4. 기본자료형 -> int, long, double, boolean - 변수 호출(sysout) -> 값 메모리의 사이즈를 알고 있기 때문에 호출하면 값이 나옴 call by value 5. String(문자열) -> 사이즈를 알 수 없다. 공간 확보를 미리 못함 -> 4Byte 공간 확보(데이터가 아닌 주소(포인터)를 입력)..

JAVA 2022.01.10

자바 7강. 변수

자료형(type)은 데이터를 담을 박스를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한다. 즉, 변수를 담을 상자의 크기를 지정하는 것이다. 자료형이 있는 언어를 정적인 언어라고 하고, 자료형이 없고 한 줄씩 해석(인터프리터)하는 언어를 동적인 언어라고 한다. 자바에는 8가지 기본 자료형이 있다. 이중에 우리는 4가지만 알고 가자. 데이터형 설명 크기(비트) 최소값 최대값 int 부호있는 정수 32비트(4바이트) 약 -21억 4천 약 21억 4천 long 부호있는 정수 64비트(8바이트) 약 -900경 약 900경 double 실수 64비트(8바이트) int와 숫자범위는 동일 + 소수점 int와 숫자범위는 동일 + 소수점 boolean true 또는 false 1비트 해당 없음 해당 없음 정수를 표현할 때는 int(42..

JAVA 2022.01.07

자바 6강. JVM 아키텍쳐

모든 데이터에는 자료형이 있다. 자료형(data type)은 변수에 저장되는 자료의 타입을 의미한다. 변수는 데이터를 담아두는 상자와 같다고 생각할 수 있다. 상자들은 식별을 위해 이름표를 붙여준다. 이 이름표로 저장된 메모리의 영역을 찾을 수 있다. 이때 상자의 종류를 크기별로 나타내는 것을 자료형이라고 한다. 우선 프로그래밍을 한번 해보자 VarEx.java 파일을 만들 것이다. Var은 variable 변수의 약자이다. 지금 우리는 메인 영역만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메인 안에 적을 것이다. 상자를 만들건데 상자의 이름을 num이라고 정해줄 것이다. 상자의 크기는 이름 앞에 적어준다. byte는 8비트이고, 숫자는 0~255까지 들어갈 수 있다. package ex05; public class V..

JAVA 2022.01.07

자바 5강. 자바 실행 규칙

메모리에 대해 잘 이해하면 문법을 이해하기 쉬워진다. src가 아닌 ex01 폴더에 JavaMain.java파일을 만들어준다. 패키지는 폴더 이름을 말한다. 자바 소스파일들이 모여있는 폴더를 패키지라고 한다. (규칙 1) class뒤에 class 이름이 파일 이름과 똑같이 만들어진 것도 볼 수 있다. (규칙 2) public class는 아직 몰라도 된다. 이 상태 그대로 shift + F9를 눌러 실행해보면 오류가 날 것이다. 자바는 main이 없으면 실행할 수 없다.(규칙 3) class안에 main이라고만 치면 코드가 자동 완성될 것이다. 그리고 shift + F9 해보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ackage ex01; public class JavaMain { public static v..

JAVA 2022.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