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기본지식
#11강. Stateful과 Stateless란
웹서버는 문서 공유에 목적이 있기 때문에 수동적이다. 능동적 응답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웹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삭제한다. 클라이언트가 웹서버에게 한번 요청했다가 응답을 받고 메모리에서 삭제된 후 같은 클라이언트가 다시 재요청을 해도 웹서버는 처음 요청한 클라이언트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서버를 Stateless 서버라고 한다. 이것과 반대로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모두 기억하고 있는 서버를 Stateful 서버라고 한다. 이 서버는 능동적인 응답이 가능하지만 메모리의 부하 때문에 느려지게 된다. Stateless : 어떠한 이전 요청과도 무관한 각각의 요청을 독립적인 트랜잭션으로 취급하는 통신 프로토콜 Stateful : 이전 트랜잭션의 컨텍스트에 따라 수행되며, 현재 트랜잭션이 이전 트랜잭션에서 ..
2021. 12. 20. 19:43